점점 굽는 허리,척추관협착증 의심해봐야
나이 많은 노인들을 떠올리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굽은 허리다.
사람들은 허리가 굽는 증상을 자연스런 노화현상 중 하나로 치부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단순한 노화현상이 아니라 척추관협착증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는 증상이다.
척추관협착증이란, 척추의 중앙에는 척수가 지나가는 척추관의 황색인대와 척추후 관절의 비후로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척추관협착은 척추의 퇴행으로 뼈가 뾰족해 지거나 인대의 비후, 디스크 등과 함께 척추 종양, 감염, 기타 병소 등이 그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성남홍익신경외과 남천현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면 편하고 똑바로 피면 통증을 유발하고 등과 허리가 점차 굳는 느낌을 받게 된다. 아울러 일상 생활 속에서 바로 눕거나 엎드려 자기가 힘들며 계단을 내려갈 때 허리에 힘이 들어가면서 다리가 당기는 등 주로 요통과 하지통증을 발생시킨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척추관협착증은 신경성 간헐적 파행이라 해서 다리가 모호하게 조이거나 쑤시고 예리하게 타는 듯한 통증이 대표적인 증상인데 심할 경우 마비, 경련, 저림, 근력 약화 등의 증세를 나타내기도 한다.
척추관협착증의 자세한 진단은 방사선 소견을 통해 주로 확인되는데 평면 사진으로 척추간 간격을 확인 단순 방사선 촬영을 통해 불안정성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척수관의 골조직의 크기와 모양을 정확히 알 수 있고 신경관도 관찰 할 수 있으며 찌르거나 절개 할 필요가 없는 전산화 단층촬영술(C.T), 골조직 외에 연부조직 사이의 상태까지 잘 알 수 있는 자기공명상(M.R.I) 등을 이용할 수 있다.
50~60대 잘 발생하는 척추관협착증은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에는 약물치료와 신경주사, 무중력감압치료, 허리근육강화운동, 보조기착용 등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엔 수술이 꼭 필요한데 나이와 효과 등을 고려해 내시경 레이저법, 미세현미경, 감압술을 이용해 두꺼워진 척추궁, 인대 등 넓은 범위에 걸쳐 척추경의 일부를 제거해 주는 것이 좋다.
성남홍익신경외과 남천현 원장은 “평소 허리에 좋은 운동을 꾸준히 하고 허리건강에 보다 신경 쓰는 것이 척추관협착증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안이다. 특히 초기에 척추관협착증 등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